반응형

Springboot 41

로깅 라이브러리 @Slf4J 예제

@Slf4J 어노테이션은 Lombok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로깅을 구현할 수 있는 어노테이션입니다. @Slf4J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추가적으로 LoggerFactory를 선언하지 않고도 Logger 객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다음은 @Slf4J 어노테이션을 사용한 예제입니다 import lombok.extern.slf4j.Slf4j; @Slf4j public class LogExample { public void logExample() { log.debug("Debug level log"); log.info("Info level log"); log.warn("Warn level log"); log.error("Error level log"); } } 위의 예제에서는 `@Slf4j`를 클래스에..

Springboot 2023.09.17

@ResponseEntity를 활용한 PUT 메서드 예제

아래는 @ResponseEntity를 활용한 PUT 메서드의 예제입니다. @Controller @RequestMapping("/api") public class ApiController { @PutMapping("/users/{id}") public ResponseEntity updateUser(@PathVariable Long id, @RequestBody User user) { // id를 사용하여 DB에서 해당 유저 정보를 찾아 업데이트한다. User updatedUser = updateUserInfo(id, user); if(updatedUser != null){ return ResponseEntity.ok(updatedUser); } else { return ResponseEntity.notFo..

Springboot 2023.09.17

DELETE API 생성

스프링부트에서 DELETE API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1. @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컨트롤러 클래스를 생성합니다. @RestController @RequestMapping("api") public class ApiController { } 2. @DeleteMapping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DELETE 메소드를 처리하는 핸들러 메소드를 작성합니다. @DeleteMapping("/users/{id}") public void deleteUserById(@PathVariable Long id) { // 처리 로직 작성 } 3. 필요한 경우 @PathVariabl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경로 변수를 매핑합니다. 위의 예시에서는 "/users/{id}" 경로에 있는 id..

Springboot 2023.09.17

PUT API 생성

스프링 부트에서 PUT API를 생성하려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를 수 있습니다. 1. 컨트롤러 클래스 생성: PUT API를 처리할 컨트롤러 클래스를 생성합니다. 예를 들어, UserController라는 클래스를 생성합니다. @RestController @RequestMapping("/users") public class UserController { @PutMapping("/{id}") public ResponseEntity updateUser(@PathVariable Long id, @RequestBody User updatedUser) { // TODO: id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로직 작성 return ResponseEntity.ok().build(); } } 2. 요청 경로와..

Springboot 2023.09.17

POST API 생성

스프링부트에서 POST API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1. REST 컨트롤러 클래스 생성하기: 스프링부트에서는 @RestController를 사용하여 REST 컨트롤러를 만듭니다. 이를 통해 AP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@RestController public class ApiController { @PostMapping("/api") // POST 요청을 처리할 URL 지정 public ResponseEntity postData(@RequestBody String data) { // 요청 본문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처리하는 로직을 작성합니다. System.out.println("받은 데이터: " data); // 응답 메시지 설정 String response = "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..

Springboot 2023.09.17

DTO 객체를 활용한 GetMapping 사용법

GetMapping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DTO 객체를 활용하여 API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. DTO 객체를 활용하면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요청 파라미터를 객체로 자동으로 매핑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먼저 DTO 클래스를 작성해보겠습니다. 예를 들어 이름과 나이를 저장하는 PersonDTO 클래스를 생성해보겠습니다. public class PersonDTO { private String name; private int age; // 생성자 PersonDTO(String name, int age) { this.name = name; this.age = age; } PersonDTO() { } public void setName(String name) { this.name = name; } public v..

Springboot 2023.09.17

@RequestParam 활용한 GetMapping 사용법

@RequestParam을 사용하여 Get 요청에 파라미터를 전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@Controller public class HelloWorldController { @GetMapping("/hello") public String hello(@RequestParam("name") String name) { return "Hello, " name "!"; } } 위의 코드에서 @RequestParam("name")은 name이라는 파라미터를 요청으로 받을 것임을 명시합니다. 이렇게 받은 파라미터는 메서드의 인자로 전달됩니다. 따라서, "/hello?name=전달할이름"과 같은 형식으로 GET 요청을 보내면 해당 이름을 출력해주는 문자열이 반환됩니다. 예를 들어, "/hello?name=Wor..

Springboot 2023.09.17

@RequestMapping으로 구현

스프링부트에서 @RequestMapping으로 url의 형식을 추가할수 있다. `@RequestMapping` 을 구현하여, "Hello World" 출력하면 다음과 같다: 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GetMapping; 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RequestMapping; 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RestController; @RestController @RequestMapping("/hello") public class HelloWorldController { @GetMapping public String helloWorld()..

Springboot 2023.09.17

Hello World 출력하기

안녕하세요! 스프링 부트에서 "Hello World"를 출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 1.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. 2. 생성된 프로젝트의 소스 코드를 열고, `src/main/java` 디렉토리에 새로운 패키지를 생성합니다. 3. 새로운 패키지 내에 `MainApplication.java`라는 클래스를 생성합니다. 4. `MainApplication.java` 파일을 열고,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합니다: package com.example.demo; 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SpringApplication; 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autoconfigure.SpringBootApplication; @SpringBootApp..

Springboot 2023.09.17
반응형